win-j의 자유로운 블로그

블로그 개발일지 001

개발일지 · 2025.08.30 · 조회 47

블로그 개발일지 001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컴퓨터공학 전공인데 졸업한지도 벌써 10년이 넘었고.. java 웹으로 1년정도 회사를 다니다가 완전 다른 업종으로 바꾼지도 10년이 넘었고 그간 프로그래밍 언어를 조금씩 조금씩 보고 간단한걸 만들어보고 이런 취미생활 코딩을 했었는데 최근에는 django를 활용해서 웹사이트를 한번 만들어볼까? 이런 생각을 가지고 블로그 만들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 개발 환경 구성 - Docker 활용 개발 환경은 Docker 컨테이너에서 NGINX, Django, PostgreSQL이 돌아가는 시스템으로 만들었습니다. Docker를 활용해서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 개발, 테스트, 배포 환경이 동일하게 유지 시킬 수 있어 "개발PC에서는 잘되는 게 서버에서 작동을 안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docker-compose.yml을 활용하면 NGINX, Django, PostgreSQL의 컨테이너들을 한 번에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어 컨테이너를 하나하나 설치하는 것이 아닌 docker-compose에 정의해 놓으면 한번에 모두 설치됩니다.

- Git 활용 개발을 하기 위해서 git사용은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여러 사람이 같이 개발한다고 하면 당연히 git을 사용해서 각자의 영역에서의 개발과 통합을 하지만 혼자서 개발하고 서버운영까지 한다고 하더라도 git을 활용하면 더 편리하게 서버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저는 집에서 사용하는 PC와 출장을 가면 사용하는 노트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git을 활용해서 소스코드를 맞춰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놀로지 NAS를 git 서버로 만들고 hook을 사용해서 새로운 업데이트가 발생되면 소스코드를 최신화 시키고 서비스를 재시작해서 블로그를 최신화하도록 설정해서 개발환경에서 git push를 시키면 자동으로 운영서버가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 배포하게 설정했습니다.




일단 블로그는 기본 틀만 만들어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블로그 개발의 기록이 가장 우선적으로 되어야 하고 노출이 우선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블로그 형식은 제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했을 때 사용했던 틀과 유사한 형태의 블로그 뼈대를 만들고 여기에 이제 기능을 하나 둘 추가할 예정입니다. 일반 커뮤티니형 웹사이트와 다르게 블로그는 관리자만이 글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게시판 구성이 조금 더 간단하다고 생각됩니다.

django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는 기능도 별로 없어서 우선 게시판 작성을 위해서 에디터를 추가했습니다. 이미지 업로드 기능은 아직 추가하지 않아 이미지 업로드는 다른 별도의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긁어오는 형식으로 작성하고 추후에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추가해서 서버에도 이미지를 올릴 수 있도록 만들 예정입니다. 썸네일 이미지를 업데이트 하는 기능은 있지만 글쓰기에서 벌써부터 이미지를 업로드 하다보면 서버에 불필요한 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미지를 별로도 이미시 서버를 활용하거나 할 예정입니다.